자비경

자비경 慈悲經 Metta Sutta

이것은 착한 일을 잘 하는 이가 실천하
마음의 평안을 얻는 바.
그렇게 그는 능숙하고 올바르며 정직하여
말이 부드럽고 겸손하며 교만하지 않습니다.

항상 만족하고, 쉬이 충족되며
번잡지 않은 단소한 삶으로 
고요하게 감관 속에서 지혜롭게 마음을 지키며
겸허하게 세상의 정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지혜로운 이가 혹 꾸짖을지도 모를
사소한 잘못 하나라도 저지르지 않으며
그는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고 평안하길 기원합니다.
그들이 마음으로 부터 진정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

생명있는 어떤 존재든지,
그들이 약하거나 강한것에 관계없이
또는 크든, 길든,
중간이든, 작든, 아주 작은지에 관계없이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멀리 살거나 가까이 살거나
이미 태어났거나, 앞으로 태어날 것이나
모두가 마음으로 부터 진정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

누구도 다른 이를 속이지 말며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곳에서도
남을 경멸하지 않으며
노여움과 악의적인 생각으로
남들이 나쁜일을 당하기를 바라지 않으며

하나뿐인 자식을 그 어미가 보호하듯
그 하나뿐인 목숨을 걸고 자식을 보호하듯
이와같이 모든 존재를 향하여
그는 한량없는 마음을 일으킵니다.

위, 아래, 혹은 어느 곳이나
세상의 모든 존재를 향하여
미움도, 적도, 물러섬도 없이
그는 한량없는 자비의 마음을 일으킵니다.

앉거나 서거나 눕거나 움직일 때에도
항상 졸음에 빠지지 않고
지키는 자비의 마음.
그것이 곧 고귀한 천신이 머무는 곳입니다.

잘못된 견해에 물들지 않고
계를 잘 지키며 지혜를 성취하여
감각 속 욕망을 벗어버리고
그는 다시 생사에 물들지 않습니다.


자비경 해설

여기 소개된 자비경은 경전 숫타니파타 가운데 포함되어 오늘에 전해집니다. 제목이 나타내듯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의 가치, 자비의 실천을 얘기하는 짤막한 경전이지요.

한국의 크고 작은 사찰에서 반야심경, 천수경등이 여러 불교의식에 두루 쓰여져 우리 불자들이 자주 독송하지요. 마찬가지로 여기에 소개된 자비경은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등의  남방사찰에서 가장 자주 독송하는 경전 가운데 하나입니다. 남방의 불자들은 삶의 어지러운 일들과 세상사 가지가지 위험, 재앙으로부터 자신과, 가족, 마을, 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이 경전을 자주 찾아 독송한다 합니다.

그리보면 궁극의 진리를 담은 경전의 힘으로 삶의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믿음과 실천은 문화와 언어를 초월하여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좀 의아한 것은 자비라는 좀 연약해 보이는 삶의 가치가 어떻게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믿음이 사람들에게 전해졌는지 궁금합니다.

붓다고사 스님은 기원 후 5세기 스리랑카에 사시며 훌륭한 여러 저술을 남기시고 가셨습니다. 스님의 설명에 의하면 자비경은 세속을 떠나 히말라야의 깊은 산속에서 수행하시는 500명의 스님들을 위해 부처님께서 설하셨다 하죠.

히말라야의 산자락의 어느 불심이 깊은 마을 사람들이 여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 하안거를 맞이하여 500명의 스님들을 초대합니다. 스님들은 기꺼이 초대에 응하히고 그 마을 근처 산에 머물러 3개월 동안 수행을 하시죠. 스님들은 함께 모여 그 해 여름안거의 하루 일과를 정했고, 하루의 일과를 위해서 나무 막대를 두두렸고, 그 소리에 맞추어 하루 하루의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스님들이 오시기 전부터 오랜동안 숲과 나무를 의지해서 살던 신들은 스님들의 밤낮없는 수행에 불편하고 불안해집니다. 자신들만이 살던 거처에 낯선 이들이 와서 오래 머무르자 나무 아래 머물러 수행사시는 스님들을 방해하기 시작합니다.

그리하여 스님들은 재채기와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머리없는 유령을 혹은 몸없는 유령을 자주 보는 등 여러 어려움을 겪게 되죠. 이러한 어려움을 스님들은 부처님을 찾아가 얘기하고 도움을 청하자 부처님께서는 자비경을 말씀하십니다. 다시 자신들의 거처로 돌아간 스님들은 참선.명상 중 장애가 있을 때마다 자비경을 외워 독송하면서 더는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여름 안거를 마치고 모두 깨달음을 이루어 아라한이 되었다 하죠.

방금의 얘기에서 여러가지 좋은 의미를 찾을 수 있겠죠. 그중 정진하는 스님들과 숲과 나무의 신들의 갈등, 이것이 상징하는 우리 삶의 여러 다툼이 중요한 의미가 아닐까 하는데요. 아무리 좋은 일을 한다고 해도 삶의 갈등은 피할 수 없는 것이고, 그 갈등을 미움과 다툼이 아닌 타인의 행복을 바라는 자비의 마음으로 풀어야 하는 것이 자비경 전하는 중요한 의미가 아닐까 합니다.

원만하지 못한 주변과의 관계는 내 욕심이 자주 그 원인이고, 자비는 우리 마음 가운데 있는 ‘나’의 욕심을 녹이는 약이 될테고요. 이처럼 자비는 삶의 여러가지 장애로 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훌륭한 해결책 된다는 가르침을 자비경과 그 뒷 얘기는 전합니다.

혹 다툼으로 마음이 산란하고 무겁고 어지러워 하고 있는 일이 잘 되고 있지 않다면 자비경을 소리내어 독송해 보기를 권합니다.


최신글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